Java 공부를 처음 시작했을때 만나게 되는 내용들 정리
1. 변수(Variable) :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
2. 변수 선언 : 변수를 만드는 과정
형식) 자료형 변수명
예) int i;
char a;
3. 변수의 초기화 :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
형식1) 자료형 변수명 = 초기화값
예1) int i = 10;
char a = 'A';
형식2) 자료형 변수명;
변수명 = 초기화값
int i;
i = 10;
4. 상수(Constant) : 값을 한 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
5. 리터널(Literal) :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
* 특수문자를 표현하는 문자 리터널
tab -\t
new line - \n
역슬래쉬 - \\
큰따옴표 -\"
6. 식별자는 변수, 상수, 배열, 문자열, 사용자가 정의하는 클래스나 메소드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이름을 의미합니다.
일반적으로 클래스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메소드, 변수, 배열, 문자열 등의 이름은 소문자로 시작하는것이 관례
7. 변수명(식별자) 명명시 일반적으로 지켜야 할 사항
- 변수명의 길이는 제한이 없다.
- 반드시 문자나 언더바(_), 달러기호($)로 시작해야 한다.
- 자바의 연산자(+, -, *, /)는 문자에 넣을 수 없다.
-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
예) int result와 int Result는 전혀 다른 변수다.
- 숫자가 맨 첫 글자로 올 수 없고, 이름 사이에 빈 칸을 사용할 수도 없다.
빈 칸을 넣고 싶다면 이름과 이름 사이에 언더바(_)를 넣는다.
예) int 10Second; (×) → int TenSecond; (○)
예) int Time Interval; (×) → int Time_Interval; (○)
- 자바의 키워드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.
예) int class; (×), int public; (×)
8. 자료형의 종류
1. 기본 자료형(Primitive) : 변수의 위치에 값이 저장
예) 논리형, 정수형(문자형), 실수형
2. 참조형(Reference Type) : 참조하는 곳의 주소값을 가지고 있다.
실제 값이 있는 위치의 주소가 저장.
예) 클래스, 배열, 인터페이스, 열거형
'🚀 Programming > JAVA+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변수 기본 정리(데이터타입, 상수, 참조형 변수, 형변환) (0) | 2022.08.29 |
---|---|
[Java] ArrayList의 출력/addAll()/ removeAll()/ retainAll() (0) | 2022.08.28 |
[Java] array, list, 그리고 arraylist (0) | 2022.08.28 |
Java에서 final, finally, finalize() 의 사용 (0) | 2022.08.28 |
[Java] 변수 구분하기 (클래스변수/ 인스턴스변수/ 지역변수) (0) | 2022.08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