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1. 그룹화해서 사용
temp='20240301_1557'
temp.replace('_',' ').replace(/(.{4})(.{2})(.{2})(.{3})/,'$1-$2-$3$4:')
=> 2024-03-01 15:57
2. 문자열에서 괄호 안의 내용을 추출
\(([^)]+)\)
- **`\(`**: 여는 괄호 `(`를 찾습니다. 괄호는 정규 표현식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므로, 이스케이프 문자 `\`를 사용하여 문자 그대로의 괄호를 찾습니다.
- **`([^)]+)`**: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 사이의 내용을 캡처하는 부분입니다.
- **`[^)]+`**: 닫는 괄호 `)`가 아닌 문자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문자(`+`)를 찾습니다.
- **`([^)]+)`**: 괄호 안의 내용을 캡처 그룹으로 지정합니다.
- **`\)`**: 닫는 괄호 `)`를 찾습니다. 마찬가지로 이스케이프 문자 `\`를 사용합니다.
//예시
// 원본 문자열
let str = "20241656 (결산분)";
// 정규 표현식
let regex = /\(([^)]+)\)/;
// 정규 표현식 적용
let match = str.match(regex);
if (match) {
// 첫 번째 캡처 그룹이 괄호 안의 내용입니다.
console.log(match[1]); // "결산분"
} else {
console.log("No match found.");
}
3. 패턴을 변수에 저장해서 사용
this.v_Pattern=['특별자치도|도 ','특별시|특별자치시|광역시|시 ','구 |군 ','동\\d*.?\\s','읍 ','면 ','\\d+(-\\d+)?'];
this.v_replace= new RegExp('토지|임야','g');
for(var i=0;i<this.v_addrData.length;i++){
var newAddr='';
var oldAddr=this.v_addrData[i][0];
oldAddr=oldAddr.replace(/\d+(.\d+)?㎡/g,'');
oldAddr=oldAddr.replace(this.v_replace,'');
var loop=0;
if(oldAddr.includes(' ')){
loop=oldAddr.split(' ').length*this.v_Pattern.length
}else{
loop=this.v_Pattern.length
}
for(var j=0;j<loop;j++){
var regex = new RegExp(this.v_Pattern[j%this.v_Pattern.length], 'g');
if(!(oldAddr.match(regex))==false){
var area=oldAddr.match(regex)[0];
newAddr+=oldAddr.split(area)[0]+area;
oldAddr=oldAddr.replace(oldAddr.split(area)[0]+area,'');
}
}
this.v_addrData[i][1]=newAddr;
}
반응형
'🚀 Programming > JavaScript+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#] FileInfo 속성 (0) | 2025.03.05 |
---|---|
[JavaScript] Array.from() (0) | 2025.02.24 |
[JavaScript] 배열 자르기 splice와 slice (0) | 2025.02.24 |
[JavaScript] 배열끼리의 결합하기(Vertical, Horizontal) (0) | 2025.02.24 |
[JavaScript] 2차원 배열 데이터 최소값, 최대값, 정렬 (0) | 2025.02.24 |